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한국과 일본의 애플 팬들이 선호하는 아이폰이 각각 다르다는 분석이 나왔다는 소식이 전해져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올해 아이폰 15 출시 이후 국내에서는 판매량이 급증했으나, 일본에서는 오히려 수년 전에 출시된 아이폰 12·13 미니 중고 모델을 찾는 사람이 늘어났는데요.
나인투파이브맥 등 외신은 최근 국내 시장조사업체 애틀러스리서치 앤 컨설팅의 자료를 인용, 국내 아이폰 15 시리즈의 첫 한 달 판매량이 이전 모델보다 41.9%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가장 저렴한 일반 모델의 경우 판매량이 전작 2배 이상 증가했는데요. 최고가 모델인 프로 맥스도 42.3% 더 많이 팔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처럼 국내 시장에서 아이폰 수요가 급증하자 애플이 한국 시장에서 신제품 출시 일정을 앞당기지 않겠느냐는 기대까지도 나오고 있는 상황인데요.
애플의 한국 시장 홀대는 예전부터 지속적으로 도마 위에 올라왔으며, 신작 출시 역시 전파 인증 등의 문제로 늦은 편입니다. 아이폰 15도 한국에서는 10월 13일부터 출시되었는데요. 미국 등 1차 출시국은 9월 22일, 2차 출시국은 9월 29일부터 공식 판매가 시작됐습니다.
아이폰 15 판매 급증 현상에는 올해 아이폰 15 시리즈에 유리한 환경이 꾸준히 조성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는데요. 국내 이동통신사가 각종 보조금과 프로모션 등으로 계속 판매를 장려했고, 장려책을 꾸준히 진행했고, 간편 결제서비스 ‘애플페이’도 한국에서 선을 보였습니다.
아이폰의 최대 약점 중 하나였던 통화녹음도 가능해졌으며 SK텔레콤은 자사의 AI(인공지능) 서비스 ‘에이닷(A.)’에 AI 기반 통화녹음·요약 기능을 추가, 아이폰에서도 이를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의 장점과 유사한 기능들을 거의 탑재하게 된 것인데요.
반면 전통적으로 아이폰의 인기가 높았던 일본은 이번 아이폰 15 시리즈의 경우에는 수요 증가가 두드러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히려 아이폰 15 시리즈의 일본 출시일인 9월 22일부터 일주일 동안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아이폰 12·13 미니의 판매량이 전주 대비 2배가량 증가하기도 했는데요.
업계에서는 일본 시장에서 아이폰 신작 수요만큼 미니 모델을 구하기 위한 중고거래 등이 보다 활발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애플은 아이폰 15 시리즈 출시 직후 공식 홈페이지에서 아이폰 13 미니를 삭제했습니다.
나인투파이브맥은 이런 현상에 대해 “작은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일본 소비자들의 성향 때문에 이전에 출시된 모델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애플은 지난해 아이폰 14 시리즈부터 프로 맥스처럼 6.7인치 대화면 모델을 도입했는데요. 현재까지 출시된 아이폰 중 5.4인치 화면의 미니 모델이 출시된 것은 아이폰 12와 13 시리즈가 유일하여 더 희소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과 일본의 아이폰 선호도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매 아래 클릭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